회원가입 아이디 ⋅ 비밀번호 찾기
[62399] 광주시 광산구 호남대길 36, 9호관 9107-1호 한국어교육원장실
TEL : 062-940-5352|E-MAIL : klaces@naver.com
•정보교류•학계소식
※ 사진을 추가할 때는 반드시 오른쪽 사진을 클릭해서 업로드해 주세요.
오는 11월 24일(토)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대화분석’에 초점을 두어 특강과 질의응답 형식의 워크숍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대화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연구 방법에 대하여 함께 공부하고 논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많이 참석하여 주시고, 주변에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께도 소개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우리 학회에서는 앞으로 다양한 주제로 연구모임을 개최할 계획입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담화인지언어학회 회장 이한규 올림
■ 담화인지언어학회 연구모임 안내 ■ 1. 일시: 2012년 11월 24일(토) 13시 30분 2. 장소: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대학원 4층 브릭스국제포럼장 3. 참가비: 1만원 4. 특강: [1] 13:30-14:10 대화분석과 한국어 연구: 문법, 관행 및 행위 김규현(경희대학교) 14:10-14:30 질의응답 휴식 [2] 14:40-15:20 대화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이해: 종결어미 사용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 (interactional competence) 발달을 중심으로 김은호(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15:20-15:40 질의응답 휴식 [3] 15:50-16:30 인용문의 대화분석 연구: 방송 담화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내러티브/비(非)내러티브 인용문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지은(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16:30-16:50 질의응답 5. 특강 요지 [특강 1] 대화분석과 한국어 연구: 문법, 관행 및 행위 김규현(경희대학교) 본 발표에서는 최근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분야에서의 한국어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대화분석 접근방법의 이론 및 방법론적인 특성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문법과 상호작용(grammar and interaction)의 시각에서, 문법을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실제 상호작용 맥락에서 화자/사회행위자들이 여러 관행과 행위를 조직해 나가는 데 사용하는 상호작용적 자원(interactional resources)으로 보는 대화분석의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실제 대화상황을 녹취하여 전사한 대화자료를 함께 분석해 보는 데이터 세션을 통해서, 대화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해 나가면서 구성되는 연속체 맥락(sequential context) 속에서 서로의 행위를 이해하고 자신의 행위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참여자의 시각에서 파악해 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함께 가져보고자 한다. [특강 2] 대화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이해: 종결어미 사용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 (interactional competence) 발달을 중심으로 김은호(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본 발표에서는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CA)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을 문법과 상호작용(grammar and interaction) 분야에 접목시킨 연구 사조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그 첫 번째 목표로 한다. 특히, 한국어의 문법 범주 중 하나인 종결어미(sentence-ending suffixes)의 사용을 대화분석적 시각으로 접근한 실제적인 선행연구들을 소개함과 더불어 실제담화자료 (naturally occurring data)를 함께 분석해 봄으로써 담화자료 및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본 발표의 두 번째 목표로서, 대화분석을 사용한 학습자 담화 연구(CA-for-SLA/CA-SLA)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실험이나 통계 등을 분석의 방법으로 이용하는 전통적인 심리언어학적(psycholinguistics), 인지언어학적(cognitive linguistics) 언어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연구에 반하여, 대화분석을 사용한 언어습득연구는 학습자의 언어학습(language learning) 및 발달(language development)에 대해 상호작용적, 사회적 입장을 취해왔다. 이러한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interactional competence)을 규명하고자 하는 대화분석을 통한 언어습득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해당 이론에 대한 소개 및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본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을 대화분석적인 시각으로 접근한 연구를 실제 한국어 교실 담화자료와 함께 다루어 이론을 실제 분석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특강 3] 인용문의 대화분석 연구: 방송 담화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내러티브/비(非)내러티브 인용문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지은(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본 발표에서는 먼저 인용문(reported speech)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언어학에서 주로 다뤄 온 인용문 관련 주요 논제와 대화 분석적(conversation analysis) 연구를 비교하여 인용문 연구의 발달을 살펴 보고자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관심을 받기 시작한 한국어의 대화분석적 인용문 연구 또한 간략히 소개하고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데이터 세션에서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로 이루어진 실제 방송 인터뷰 데이터를 통하여 인용문이 발화되는 순차적인 패턴(sequential pattern), 즉 인터뷰 대상자의 reporting과 인터뷰 진행자의 reacting을 살펴보고 그 패턴 안에서의 인용문의 다양한 쓰임을 알아 본다. 구체적으로 인터뷰 대상자의 스토리텔링 맥락에서 발화되는 내러티브(narrative) 인용문과 인터뷰 진행자의 즉각적인 반응 부분(‘3rdturnposition’)에서 발화되는 비(非) 내러티브(non-narrative) 인용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해 보기로 한다.
■ 담화인지언어학회 연구모임 안내 ■
1. 일시: 2012년 11월 24일(토) 13시 30분
2. 장소: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대학원 4층 브릭스국제포럼장
3. 참가비: 1만원
4. 특강: [1] 13:30-14:10 대화분석과 한국어 연구: 문법, 관행 및 행위 김규현(경희대학교) 14:10-14:30 질의응답 휴식 [2] 14:40-15:20 대화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이해: 종결어미 사용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 (interactional competence) 발달을 중심으로 김은호(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15:20-15:40 질의응답 휴식 [3] 15:50-16:30 인용문의 대화분석 연구: 방송 담화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내러티브/비(非)내러티브 인용문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지은(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16:30-16:50 질의응답
[1]
13:30-14:10
대화분석과 한국어 연구: 문법, 관행 및 행위
김규현(경희대학교)
14:10-14:30
질의응답
휴식
[2]
14:40-15:20
대화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이해: 종결어미 사용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 (interactional competence) 발달을 중심으로
김은호(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15:20-15:40
[3]
15:50-16:30
인용문의 대화분석 연구: 방송 담화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내러티브/비(非)내러티브 인용문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지은(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16:30-16:50
5. 특강 요지 [특강 1] 대화분석과 한국어 연구: 문법, 관행 및 행위 김규현(경희대학교) 본 발표에서는 최근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분야에서의 한국어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대화분석 접근방법의 이론 및 방법론적인 특성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문법과 상호작용(grammar and interaction)의 시각에서, 문법을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실제 상호작용 맥락에서 화자/사회행위자들이 여러 관행과 행위를 조직해 나가는 데 사용하는 상호작용적 자원(interactional resources)으로 보는 대화분석의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실제 대화상황을 녹취하여 전사한 대화자료를 함께 분석해 보는 데이터 세션을 통해서, 대화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해 나가면서 구성되는 연속체 맥락(sequential context) 속에서 서로의 행위를 이해하고 자신의 행위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참여자의 시각에서 파악해 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함께 가져보고자 한다. [특강 2] 대화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이해: 종결어미 사용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 (interactional competence) 발달을 중심으로 김은호(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본 발표에서는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CA)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을 문법과 상호작용(grammar and interaction) 분야에 접목시킨 연구 사조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그 첫 번째 목표로 한다. 특히, 한국어의 문법 범주 중 하나인 종결어미(sentence-ending suffixes)의 사용을 대화분석적 시각으로 접근한 실제적인 선행연구들을 소개함과 더불어 실제담화자료 (naturally occurring data)를 함께 분석해 봄으로써 담화자료 및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본 발표의 두 번째 목표로서, 대화분석을 사용한 학습자 담화 연구(CA-for-SLA/CA-SLA)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실험이나 통계 등을 분석의 방법으로 이용하는 전통적인 심리언어학적(psycholinguistics), 인지언어학적(cognitive linguistics) 언어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연구에 반하여, 대화분석을 사용한 언어습득연구는 학습자의 언어학습(language learning) 및 발달(language development)에 대해 상호작용적, 사회적 입장을 취해왔다. 이러한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interactional competence)을 규명하고자 하는 대화분석을 통한 언어습득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해당 이론에 대한 소개 및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본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을 대화분석적인 시각으로 접근한 연구를 실제 한국어 교실 담화자료와 함께 다루어 이론을 실제 분석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특강 3] 인용문의 대화분석 연구: 방송 담화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내러티브/비(非)내러티브 인용문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지은(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본 발표에서는 먼저 인용문(reported speech)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언어학에서 주로 다뤄 온 인용문 관련 주요 논제와 대화 분석적(conversation analysis) 연구를 비교하여 인용문 연구의 발달을 살펴 보고자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관심을 받기 시작한 한국어의 대화분석적 인용문 연구 또한 간략히 소개하고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데이터 세션에서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로 이루어진 실제 방송 인터뷰 데이터를 통하여 인용문이 발화되는 순차적인 패턴(sequential pattern), 즉 인터뷰 대상자의 reporting과 인터뷰 진행자의 reacting을 살펴보고 그 패턴 안에서의 인용문의 다양한 쓰임을 알아 본다. 구체적으로 인터뷰 대상자의 스토리텔링 맥락에서 발화되는 내러티브(narrative) 인용문과 인터뷰 진행자의 즉각적인 반응 부분(‘3rdturnposition’)에서 발화되는 비(非) 내러티브(non-narrative) 인용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해 보기로 한다.
5. 특강 요지
[특강 1]
본 발표에서는 최근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분야에서의 한국어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대화분석 접근방법의 이론 및 방법론적인 특성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문법과 상호작용(grammar and interaction)의 시각에서, 문법을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실제 상호작용 맥락에서 화자/사회행위자들이 여러 관행과 행위를 조직해 나가는 데 사용하는 상호작용적 자원(interactional resources)으로 보는 대화분석의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실제 대화상황을 녹취하여 전사한 대화자료를 함께 분석해 보는 데이터 세션을 통해서, 대화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해 나가면서 구성되는 연속체 맥락(sequential context) 속에서 서로의 행위를 이해하고 자신의 행위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참여자의 시각에서 파악해 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도 함께 가져보고자 한다.
[특강 2]
대화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이해: 종결어미 사용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 (interactional competence) 발달을 중심으로
본 발표에서는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 CA)의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을 문법과 상호작용(grammar and interaction) 분야에 접목시킨 연구 사조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그 첫 번째 목표로 한다. 특히, 한국어의 문법 범주 중 하나인 종결어미(sentence-ending suffixes)의 사용을 대화분석적 시각으로 접근한 실제적인 선행연구들을 소개함과 더불어 실제담화자료 (naturally occurring data)를 함께 분석해 봄으로써 담화자료 및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본 발표의 두 번째 목표로서, 대화분석을 사용한 학습자 담화 연구(CA-for-SLA/CA-SLA)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실험이나 통계 등을 분석의 방법으로 이용하는 전통적인 심리언어학적(psycholinguistics), 인지언어학적(cognitive linguistics) 언어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연구에 반하여, 대화분석을 사용한 언어습득연구는 학습자의 언어학습(language learning) 및 발달(language development)에 대해 상호작용적, 사회적 입장을 취해왔다. 이러한 학습자의 상호작용적 능력(interactional competence)을 규명하고자 하는 대화분석을 통한 언어습득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해당 이론에 대한 소개 및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본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어미 사용을 대화분석적인 시각으로 접근한 연구를 실제 한국어 교실 담화자료와 함께 다루어 이론을 실제 분석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특강 3]
본 발표에서는 먼저 인용문(reported speech)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언어학에서 주로 다뤄 온 인용문 관련 주요 논제와 대화 분석적(conversation analysis) 연구를 비교하여 인용문 연구의 발달을 살펴 보고자 한다.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관심을 받기 시작한 한국어의 대화분석적 인용문 연구 또한 간략히 소개하고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데이터 세션에서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로 이루어진 실제 방송 인터뷰 데이터를 통하여 인용문이 발화되는 순차적인 패턴(sequential pattern), 즉 인터뷰 대상자의 reporting과 인터뷰 진행자의 reacting을 살펴보고 그 패턴 안에서의 인용문의 다양한 쓰임을 알아 본다. 구체적으로 인터뷰 대상자의 스토리텔링 맥락에서 발화되는 내러티브(narrative) 인용문과 인터뷰 진행자의 즉각적인 반응 부분(‘3rdturnposition’)에서 발화되는 비(非) 내러티브(non-narrative) 인용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해 보기로 한다.